BITZER는 왕복동, 스크류 및 스크롤 압축기 등 3가지 주요 기술을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압축기 제조기업입니다. 설립 이후 80년 이상 압축기 기술혁신에 주력해 온 만큼 전문성과 제품 품질에서 강점이 있습니다. 새로운 시장 개척과 고객만족을 위한 훌륭한 서비스 제공을 지속하겠습니다 1934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인근의 Sindelfingen에 설립된 BITZER는 내년이면 설립 85주년을 맞는 개인기업이다. 냉동, 공조, 산업용 프로세스 및 수송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왕복동, 스크류 및 스크롤 압축기, 응축장치 및 열교환기 전문 제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고객의 요구에 맞는 고급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아낌없는 투자와 노력을 지속해 electroincs, valve 및 암모니아 압축기 팩으로 성공적인 비즈니스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Alfa Laval(알파라발)의 쉘-앤-튜브 열교환기 제품 그룹을 인수하며 세계 최대 독립적인 쉘-앤-튜브 열교환기 제조기업으로 등극하기도 했다. BITZER는 2017년 현재 34개국에 약 3,5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16개의 생산시설 및 15개의 R&D시설을 직접 보유하고 있다. 매출액
냉매 구분 오존층파괴지수(ODP) 지구온난화지수(GWP) ASHRAE Class 비고 R22 0.055 1,760 A1 HCFC 규제 대상 R404A 0 3,943 A1 HFC 규제 대상 R507 0 3,985 A1 HFC 규제 대상 R410A 0 1,924 A1 HFC 규제 대상 R717 0 0 B2 독성 <국내 사용 주요 F-gas> 각종 냉동공조기기의 작동매체로 널리 사용됐거나 사용 중인 CFC(ChloroFluoroCarbon), HCFC(Hydro ChloroFluoroCarbon), HFC(Hydro Fluoro Carbon) 등의 불화가스(F-gas)와 CO₂, 암모니아, 프로판 등 자연냉매를 통칭해 ‘냉매’라고 부른다. 냉동공조기기에서 ‘냉매’는 혈액과 같으며 냉동기(공조기, 에어컨, 냉장고 등) 내부에서 열을 흡수해 온도를 낮추는 화학물질도 있고 자연에서 얻어지는 물질도 있다. 열전달을 통한 냉난방, 냉동·냉장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에어컨, 냉동고 등의 장치 안에서 물적 상태가 변하면서 냉방, 난방, 저온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오존층파괴 및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물질인 F-gas(냉매)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규제가 강
1973년 설립된 CAREL은 냉동공조 전문 컨트롤러 기술과 가습기, 증발냉방시스템분야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CAREL의 제품은 에너지절감 및 기계와 시스템의 유해 환경요소의 최소화를 고려해 설계되고 있으며 솔루션은 상업, 산업, 주거시설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CAREL은 2016년 기준 매출액 2억3,100만유로(2015년대비 13.5% 성장)를 달성했으며 매출액의 80%는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20개의 지사와 7개의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75개국에 4,000여개의 OEM 및 유통 파트너사들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6,200여개의 아이템들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간 아이템 생산량은 약 700만개에 달한다. 모니터링시스템 BOSS, 시스템 최적화새롭게 출시된 모니터링시스템인 BOSS는 완벽하게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장치로 일일 접속 또는 시스템 유지보수, 시운전 시 모든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 접속이 가능하다. 각각의 BOSS 페이지상의 그래픽은 자동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크기에 맞춰져 보여지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쉽게 BOSS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운전시스템 기능들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이는 모니터링
난방, 공조, 냉장 및 냉동 솔루션의 세계적인 공급기업인 에머슨은 진보된 기술력, 기술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거용, 상업용 및 산업용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에머슨만의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농장에서부터 가공, 운송시설, 슈퍼마켓, 레스토랑 및 편의점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콜드체인 전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Copeland™, ProAct™ Services 및 InSinkErator®는 에머슨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브랜드로서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이 결합된 제품과 솔루션으로 고객시스템의 성능과 만족도를 유지하면서 유지보수비용을 포함한 운영비용 절감, 효율성 개선 및 친환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법까지 제공하고 있다. 에머슨의 관계자는 “에머슨은 산업용, 상업용 및 주거용 어플리케이션 시장 내 고객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업”이라며 “소비자의 안락함과 건강을 보장하고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며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인프라를 생성하도록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고성능·고효율 코플랜드 압축기에머슨은 다양한 냉매, 고성능, 고효율을 위한 폭넓은 용량
한국냉매관리기술협회(회장 김동호)는 오는 10월23일 충청권으로 시작으로 △호남권(10월24일) △영남권(10월25일) △수도권(10월26일) 순으로 대기환경보전법 제76조의 11에 따른 ‘냉매회수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주최하고 냉매관리기술협회가 주관으로 열린다. 설명회에서는 냉매관리제도 관련 법령 개정내용 설명(관리대상 확대 및 냉매회수업 등록제 신설 등) 및 냉매회수업 등록 기준 및 절차 안내 등이 예정돼 있으며 2017~2018년도에 양성교육을 냉매회수 전문인력 및 향후 냉매회수업자로 등록코자 하는 자는 설명회에 참가할 수 있다. 발표순서는 △냉매회수업등록 관련 대기환경법 제도 설명(한국환경공단) △냉매관리의 중요성(냉매관리기술협회) △냉매정보관리시스템(RIMS) 설명(한국환경공단) 순으로 진행된다. 냉매관리기술협회의 관계자는 “대기환경보전법 제76조의 11에 따라 2019년부터 시행되는 냉매회수업 등록을 위해서는 환경부장관이 인정한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라며 “우리 협회에서는 2018년 1,2차에 걸쳐 냉매회수업등록을 위한 양성교육을 진행했으며 오는 10월12일~13일 이틀간 올해 마지막 양성
세계 최대 독립적인 냉동 컴프레서 제조기업인 BITZER가 제품의 모든 혜택을 하나의 패키지로 제공하는 ‘BITZER SPOT App’을 출시했다. 냉동공조 전문가에게 도움이 될 이번 앱은 App Store와 Google Play에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BITZER SPOT App’을 통해 사용자는 BITZER 제품의 정품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문서는 물론 BITZER 및 Green Point 서비스지점, 공인 대리점 관한 디렉토리도 포함돼 있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BITZER 제품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BITZER SPOT App의 QR코드 스캔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BITZER의 관계자는 “BITZER SPOT App을 사용하면 냉동압축기 전문가는 각자의 고객을 위해 비정품 압축기 사용으로 인한 시스템 고장과 높은 비용에 대한 피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라며 “QR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제품의 정품여부는 물론 관련자료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BITZER SPOT App은 사용자에게 일련의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QR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제품에 대한 광범위한 문서가 주제 그룹별로 정렬돼 자
‘Micro Wave Plasma 공법’을 이용한 냉매파괴 플랜트를 완공한 범석엔지니어링(대표 심재봉)이 ‘냉매(R-12, R-22, R-123, R-134a) 회수장치 및 회수기술’로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해 주목받고 있다. 녹색기술인증을 받은 기술명은 ‘냉매(R-12, R-22, R-123, R-134a) 회수장치 및 회수기술’이며 제품명은 ‘냉매 회수 재생장치’로 전처리기술을 포함 흡착분리기술 또는 심냉분리기술 등을 사용해 95% 이상 회수율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다. 고정식(Stationary) 냉동공기조화기(상업용 냉동기, 산업용 냉동기, 건물 냉난방용 공기조화기)에 충전된 불화가스 냉매(Fluorinated-refrigerant, CFCs, HCFCs, HFCs)는 대기환경보전법 및 전자제품등 자원순환법의 규정에 따른 ‘기후·생태계변화유발물질’로 오존층파괴와 지구온난화 유발물질이다. 고정식 냉동공기조화기의 보수 및 폐기 시 기후생태계 변화유발물질의 대기중 방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매의 특성(포화압력)에 적합한 냉매 회수장치를 사용해 불화가스 냉매를 회수해야 한다. 현재 회수장치와 회수된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를 호스로 연결하는 용기 별치형 소
글로벌 냉동공조 부품 전문기업 댄포스가 Low-GWP 냉매 설비 활성화에 앞장 선다. High GWP 냉매가격이 상승하고 관련 규제가 더욱 엄격해지면서 댄포스는 업계 전문가 및 의사 결정권자가 Low-GWP 냉매로 전환할 수 있도록 Refrigerant Week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Climate Week NYC의 공식 연계 행사인 Refrigerant Week는 오는 9월24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며 댄포스는 Low-GWP 솔루션 설비 활성화 및 홍보를 목표로 한 웨비나 및 지역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냉매 사용은 장기적으로 자원과 기업의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다. 이에 따라 몬트리올 의정서(Montreal Protocol) 및 키갈리 개정안(Kigali Amendment)과 같은 글로벌 협약은 HVAC-R(난방, 환기, 냉방 및 냉동)에 적용되는 H GWP 냉매사용의 단계적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댄포스는 이번 ‘2018년 Refrigerant Week’를 통해 냉동공조 전문가에게 새로운 규정을 준수하고 냉매 전환에 도움이 되는 올바른 정보, 도구 및 기술, 사용 가능한 솔루션 지정, 설치 및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산업용 컨트롤러 및 센서 전문기업 두텍(대표 최득남)은 도어 인터락 컨트롤러 DLC(DLC-800, DLC-802)시리즈 신제품을 새롭게 출시했다고 밝혔다. DLC시리즈는 양쪽 문이 동시에 열려 교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개발돼 실간 차압을 유지하며 에너지 및 비용 절감 효과가 뛰어난 제품이다. DLC시리즈는 이물질 및 각종 오염물질 유입을 차단해주고 공기 흐름을 유지해 온습도 조건을 항시 유지한다. 온습도 조건 유지로 냉난방 에너지 최적화 운전이 가능하며 공조기, 항온항습기 필터 및 HEPA 필터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에너지절감에 효과적이다. 평상시 각 LOCK 장치에 전원을 차단해 문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문이 열리면 연동된 다른 문의 LOCK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 잠김 상태가 된다. DLC-B800은 상황에 따라 2~8Door를 제어하며 DLC-B802는 컨트롤러 DIP스위치를 통해 동작하고자 하는 그룹별 2~3Door 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속으로 통전이 가능하고 고휘도 LED를 사용해 밝기가 선명해 원거리에도 상태 표시가 뚜렷하다. 실별 온·습도 조건 유지로 냉난방 에너지 최적화, 지시창의 돌출이 없어 분진이 쌓이지 않는다. 두
지난 2003년 냉맹회수 정제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영광원자력발전소(현 한빛원자력발전소)에 납품을 시작으로 국내에서 선도적으로 폐냉매처리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범석엔지니어링(대표 심재봉)이 폐냉매처리사업에서 또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 지난 2016년 3월에 한국남동발전과 코리아카본에서 국내 최초로 탄소펀드(30억원)를 조성해 범석엔지니어링에 지원해 폐냉매가스를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사업을 착수한 범석엔지니어링은 지난 26일 경기도 화성에서 ‘냉매파괴 플랜트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준공된 냉매파괴 플랜트는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Micro Wave Plasma 공법’이 적용돼 폐냉매가스를 분해 또는 파괴하는 하는 플랜트로 국내외적으로 상용화 규모 공장으로는 최초의 첨단 친환경 시설로 평가받고 있다. 준공된 폐냉매 소각분해처리 플랜트는 산업용 냉동기 유지보수 및 폐기과정에서 회수된 폐냉매(HFC)를 소각·분해함으로써 매년 10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설비다. 심재봉 대표는 “사업 추진과정에서 각종 인허가, 안전과 환경에 대한 법적 규제가 많아 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이러한 여러 문제들을 약 2년간 개선과 수정을 반복해가며 공
도매업체 Beijer Ref AB와 컴프레서 전문기업 BITZER는 최근 파트너십 계약을 갱신하며 앞으로 3년간 제휴 관계를 유지키로 했다. 이처럼 장기적인 협력은 두 회사 모두의 세계적 성장과 탄탄한 입지를 보장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BITZER 중역이자 최고 영업 및 마케팅 책임자인 Gianni Parlanti 씨는 “Beijer Ref와 갱신한 파트너십 계약으로 앞으로 3년 더 성공적인 나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고품질 BITZER 제품은 전세계적인 수요가 있고 Beijer Ref의 유통망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뉴질랜드에 널리 펼쳐져 있으므로 이번 협력 관계는 양사에 모두 이익이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 두 회사의 제휴 관계로 유럽을 넘어 전세계 곳곳의 Beijer Ref 고객에게 더욱 원활하게 BITZER 제품을 공급하고 다양한 선택권을 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새로 갱신한 계약에는 44개의 Beijer Ref 관계사가 포함돼 있다. 이중 6개 회사는 유럽 외부에 소재지를 두고 있다. Beijer Ref는 냉동 및 공조장비와 관련 구성 부품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경험이 풍부한 냉동엔지니어가 자문, 영업, 저장 및 파견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