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농업부문 탄소중립, 생산·유통·에너지 전방위 ‘박차’

농식품부, ‘2050년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 발표

URL복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지난해 12월27일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전환, 저탄소 구조전환 등을 골자로 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추진전략은 2021년 10월 발표된 ‘2050 국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농식품분야 온실가스 배출계획의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담고 있다.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은 저탄소 구조전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전환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생산단계뿐만 아니라 유통·소비·에너지분야까지 포함해 체계적으로 작성되고 중간감축 경로가 세부적으로 제시돼 온실가스 감축의지가 잘 드러나고 목표실현 가능성도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농업·농촌분야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공급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밀농업, 환경친화적 농업의 확산 등을 통해 저탄소 농업구조로 전환하면서 벼 재배 및 가축사육 등 생산과정은 물론 유통·소비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해나갈 계획이다.

농업부문 에너지효율화 촉진
농업 생산·유통·가공시설의 에너지효율화를 위해 에너지절감시설 보급을 확대하고 재생에너지 전환을 촉진한다.

2022년부터 집단화된 온실단지를 중심으로 산업폐열 등 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대하고 온실 등의 에너지절감시설도 2019년 2만3,000ha에서 2030년 2만5,000ha, 2050년까지 3만ha로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저온저장시설 등도 고효율 에너지장치 설치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면서 친환경 저온유통체계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2050년까지 모든 농기계의 전기동력화를 통해 19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한다. 2022년부터 연 30억원 규모의 R&D과제를 통해 전기 농기계 개발을 앞당기고 2025년까지 노후 농기계 3만2,000대를 조기 폐차한다. 전국 농기계임대사업소에 우선 보급하면서 전기·수소 충전소 설치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촌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을 통해 저탄소 에너지구조로 전환한다. 

농촌태양광은 농지보전, 주민수용성, 농촌환경 등을 고려해 이를 둘러싼 갈등을 방지하고 우량농지 훼손 없이 재생에너지가 확대될 수 있도록 농업용 시설(축사, 버섯재배사), 농업기반시설(저수지, 용배수로 등) 등을 우선적으로 활용해 보급한다.

또한 농촌공간계획을 기초로 농촌특성을 반영한 재생에너지 지구를 구축하고 바이오매스 활용 확대를 통해 저탄소 환경친화형 공간으로 농촌을 재구축한다. 마을단위 에너지자립을 달성하기 위한 농업·농촌 RE100 실증사업을 지원하며 유휴부지, 생산·유통시설 등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 공동이용시설 리모델링 지원 등을 추진한다.

온실가스 감축기반 구축 박차
특히 농업현장의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하기 위해 기술개발과 온실가스 통계를 정비한다. 외국사례 등을 고려해 신규 감축기술을 개발하고 저메탄사료, 바이오차 등 초기단계인 신규 감축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감축량 산정 방법론을 개발한다.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개발하고 온실가스 감축활동의 기초가 되는 온실가스 통계 및 산정방식을 고도화한다.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저탄소 활동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 

저탄소직불제 등 저탄소 기술이행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검토·도입하며 경종, 축산, 에너지 분야 등에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탄소감축 체계를 구축,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마을단위로 탄소감축 활동을 전개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기반마련을 위해 기존 고투입 관행농업을 저투입·저탄소 구조로 전환, 2050년까지 정밀농업 기술을 전체 농가의 60%까지 보급할 계획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활용해 스마트농업 표준모델을 개발·실증하고 콩·사과 주산지에 데이터 기반 스마트 농업단지를 조성해 2025년까지 시비·방제·급수 등 분야별 솔루션을 개발한다.

환경친화적 농업 확산, 토양 관리 강화 및 저장능력 향상, 벼 재배 발생 메탄배출량 감축, 축산부문 저메탄사료 확대, 스마트축사 보급강화 등도 함께 추진된다.

유통·소비부문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온라인거래 활성화, 로컬푸드 확대 등 푸드 마일리지 감축 등을 추진한다. 2023년부터는 전국 단위 온라인거래소 출범과 함께 온라인 거래소 품목 및 거래물량을 확대해 푸드 마일리지를 감축해 나갈 계획이다.

식생활 교육 강화 등을 통해 소비 단계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대체식품 등 저탄소 미래형 식자재 공급기반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도매시장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산물 폐기물을 저감하기 위해 파렛트 출하를 확대하고 농산물 폐기물 자원화에 대한 도매시장의 책임강화도 추진한다.

김종훈 농식품부 차관은 “농업분야는 작물 생산, 가축 사육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고 감축과정에서도 식량생산이 줄거나 축산생산성이 떨어지는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라며 “농식품부는 탄소중립 목표달성과 기후변화 완화의 시급성을 고려해 최대한의 목표치를 설정했으며 농식품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충실히 이행해 우리 농업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