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eywell은 공조시스템용 R410A를 대체할 수 있는 비가연성 Low GWP(이하 LGWP) 신냉매인 Solstice N41(R466A)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ASHRAE로부터 A1(비가연성, 비독성) 등급을 예비인증 받은 이번 신냉매는 R32의 강력한 경쟁상대이자 VRF시스템에 적용되는 R410A의 많은 수요를 대체할 수 있는 LGWP 냉매로 제안될 예정이다. 현재 시장에서 신냉매로 사용되고 있는 R32는 작은 규모의 공조시스템에서 선택할 수 있는 LGWP 냉매다. 그러나 R32는 A2L 가연성으로 인해 대규모 시스템에 적용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VRF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심을 받고 있지만 최근 다이킨에서 R32냉매를 적용한 VRF를 출시한 바 있다. 또한 C사가 제안하고 있는 R452B라는 혼합냉매는 A2L의 ‘약가연성’ 냉매라는 점에서 이번에 Honeywell이 개발한 Solstice N41이 주목받고 있다. Sanjeev Rastogi Honeywell USA 부사장 겸 불소사업부 총괄책임자는 “SolsticeN41은 에너지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뛰어난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어 “Solstice N41로 교체에
한국냉동공조시공관리협회(회장 박용한)가 지난 6월12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사단법인 설립 인가(국토교통부 제 112호)를 받고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냉동공조시공협회는 냉동공조·냉장냉동 설비·시공업체의 위상강화와 시공기술의 표준화 및 기술인력 양성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다. 협회 회원은 정회원과 특별회원으로 구분되며 정회원은 냉동공조 시공 및 관리 업체, 기술인이다. 특별회원은 냉동공조 제조업체 및 부품업체, 단체 및 유관기관 등이다. 냉동공조시공협회 초대 회장에는 박용한 (주)은성냉동산업 대표가 추대됐다. 또한 △수석부회장은 조장노 자연냉동기술 대표 △부회장은 장성혁 보성공조냉동 대표와 이진규 온누리냉난방 대표 △이사는 강영복 나래냉동산업 대표, 정현관 국제냉동 대표, 정용현 스타글로발 대표, 감사는 이승구 서안냉열 대표가 임명됐다. 냉동공조시공협회는 전국 냉장냉동·냉동공조 관련 시공 및 유지관리업체, 관련기술인들의 단체로 앞으로 회원들의 권익보호, 위상강화, 시공 및 관리기술의 개선과 개발, 교육 및 인증 등 다각적인 목적사업을 수행하면서 산업발전과 정부의 에너지이용효율화 및 저탄소정책에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현재 관련업계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정명수)는 지난 18일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식품콜드체인 고도화를 위한 신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제8회 국제물류산업전(KOREA MAT 2018)’과 함께 개최된 이번 세미나는 △식품·의약품 콜드체인 유통·물류파트 부서장 및 담당자 △화주, 냉장냉동 창고업 및 운송업 종사자 △물류 관련 학계·업계 전문가 등이 참석해 많은 관심을 이끌었다. 특히 친환경 신선물류시대를 이끌어가는 콜드체인 서비스, 시스템, 기기·장비 업체들의 제품과 서비스 속에 녹아 있는 콜드체인 신기술을 발굴, 널리 알림으로써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친환경 물류시스템 구축의 선행과제인 콜드체인 시스템 고도화 선도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정명수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국내 산업이 발전하고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삶의질 향상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신선식품을 공급하는 콜드체인의 발전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오늘 세미나를 통해 식품의 신선도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콜드체인산업 전반의 기술진보를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세미나에서는 △콜드체인 냉매의 세계적 동향(고이시카와 유진초저온 고문) △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많은 국가들이 이를 방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4년 몬트리올 의정서 규제물질로 지정된 프레온계열 냉매에 대한 감축안이 제출된 이후 우리나라도 2009~2010년 평균 소비량을 기준으로 2013년부터 동결 및 감축을 시작해 2030년 97.5%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2012년 5월 대기환경보존법 개정령을 공표함에 따라 오존층 파괴와 지구온난화 등 기후 생태계 변화를 유발시키는 냉매물질에 대해 규제를 계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롯데마트는 유통업계 최초로 에너지절감과 지구환경보호를 위해 기존의 프레온가스계열의 냉매인 R-22와 R-404A를 대체할 친환경냉매인 R-448A 도입을 발표했다. 롯데마트가 도입한 친환경냉매인 R-448A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1,273로 R-404A(3,943)대비 약 68% 낮으며 오존층 파괴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냉매다. R-22는 GWP가 1,500이지만 ODP가 0.05로 높아 냉매사용 규제대상이다. 대형마트업계는 에너지사용 절감과 환경을 보호하는 지속가능한 발전과제에 직면해있다. 이에 따라 전국의 123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롯데마트는 향후 2025년 내 모든 매장의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영농조합이나 농산물산지유통센터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형 ‘기체제어(CA: controlled atmosphere)저장고’ 완전 국산화에 성공했다. CA저장고는 저장고 내의 기체환경 조절로 농산물의 호흡 및 생리작용을 억제해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기술로 농촌진흥청은 2016년 농가보급형 컨테이너 CA저장고를 개발해 7개 업체에 기술이전 한 바 있다. 그동안 대형 CA저장고는 일본, 이탈리아 등 외국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해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들고 전문기술이 부족해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대형 CA저장고를 이용해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와 공동으로 떫은 감의 일종인 ‘상주둥시’ 저장 연구를 실시한 결과 저온저장에 비해 저장 기간이 1개월에서 3개월까지 늘어났다. ‘상주둥시’의 저장 후 품질을 분석한 결과 0℃ 저온저장대비 저장장해는 90% 감소했으며 경도는 130% 향상됐다. 감모율은 저온저장이 4.26%, CA저장이 1.89%로 CA저장고가 수분 유지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성도 우수해 3개월 저장된 감을 곶감 및 말랭이로 만들기 위해 껍질을 까는 과정에서 저온저장의 경우 약 80%가 기계가공에 부적
냉동공조산업 발전에 기여한 이형식 경인냉열사업 대표가 산업포장을, 김민수 서울대 교수가 대통령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또한 임승철 캐리어에어어컨 연구소장과 윤인규 신성엔지니어링 기술본부장은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는 지난 26일 곤지암리조트에서 ‘냉난방공조산업발전 녹색포럼’을 회원사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냉동공조산업 발전에 기여자에 대한 상장전달식이 함께 열렸다. [산업포장] 이형식 경인냉열산업 대표 HVAC산업 발전·지역경제 활성화 인정 이형식 경인냉열산업 대표는 1979년 3월부터 2017년 7월 현재까지 38년간 냉동공조산업 관련 기업에 종사하고 있다. 특히 1995년 경인냉열을 창업한 후 22년간 회사를 운영하며 차세대 컨테이너용 공랭식응축기를 개발, 수출산업화에 앞장서고 기업이익을 사회에 환원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공고를 인정받아 산업포장을 수훈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 대표는 회사 창립 이전에도 한 직장에서 17년간 근무하며 HVAC산업이라는 ‘한우물’을 고집하고 있으며 회사 창립 이후에는 본인 스스로 주변 사람들에게 경영주라는 말보다는 함께 일하는 동료라고 스스럼없이 이야기하는 고집스러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물질인 F-gas(냉매)에 대한 전세계적인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대응하기 위한 세미나가 열렸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지난 17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300호에서 ‘국내외 F-gas(냉매) 감축정책과 대응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냉매는 냉동기 내부에서 순환을 통해 열을 흡수하고 온도를 낮추는 화학물질로 오존층파괴 및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그동안 CFCs(염화불화탄소: R-11, R-12)와 HCFCs(수소화염화불화탄소: R-22, R-123)는 오존층파괴 등으로 몬트리올의정서에서, HFCs(수소화불화탄소: R-134a, R-404A, R-407C, R-410A)는 지구온난화 문제로 교토의정서를 통한 규제물질로 지정돼 왔다. 전세계적으로 오존층파괴 및 지구온난화 유발물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2030년 전기전자업종 BAU는 2,570만톤이며 감축목표는 18.5%인 477만톤이다. 전기전자업종의 온실가스는 에너지와 비에너지(냉매)부문으로 구성되며 비에너지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기전자업종 BAU의 약45%를 차지하고 있다. 전기전자업종의 비에너지부문 온실가스
콜드체인시스템(Cold Chain System)은 농산물이 수확되는 산지에서부터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기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중 저온물류 과정은 소비자의 시야에서 가장 멀어지는 시기이며 관심도 또한 낮아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저온물류는 콜드체인이 원활히 이뤄지기 위해 가장 중요한 관리포인트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 콜드체인이 부각되기 시작한 시기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하지만 관련시장은 빠르게 성장해왔고 이에 발맞춰 기업들의 저온물류에 대한 투자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저온물류를 기반으로 활동 중인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는 콜드체인 운송, 보관, 화물추적부문의 표준 및 인증기준 설정, 우수 콜드체인기업 추천 등 대형 저온창고, 저온수송분야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저온창고, 성장 기대 냉동냉장수협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식품보관을 위한 전국 냉장시설은 2016년 11월 기준으로 426만9,229M/T로 집계되고 있어 콜드체인의 저온저장 보관시설은 어느 정도 갖춰져 있고 또한 매년 증설되고 있어 관련산업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냉장·냉동 물류창고의 대규모화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는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강원도 동해시에 동북아 수산물의 신성장기지가 될 콜드체인 허브가 구축된다. 산업통상자원부 동해자유무역지역관리원은 동해시에 2017년 수산물가공 저온저장시스템(콜드체인) 클러스터 구축사업을 본격 추진에 나섰다. 콜드체인 클러스터 구축사업은 동해와 러시아산 수산물을 저장·가공하는 콜드체인 선진기지를 구축하고 내수시장과 중국, 일본 등에 판매망을 연결시킨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동해자유무역지역 내 콜드체인 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의 동반상승 효과를 창출하고 동해시를 동북아시아 수산업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도약의 계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산업부는 동해자유무역지역을 수산물 콜드체인의 집적지로 특화시키기 위해 냉동·냉장창고 및 수산물 가공시설이 고도화된 종합물류시설 조성계획을 수립했다. 동해와 러시아산 수산물을 활용한 중계 가공무역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2017~2019년까지 총사업비 280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수산물 콜드체인은 수산식품의 생산, 저장, 운수, 판매, 소비에 이르는 유통의 전 과정에 필요한저온관리 벨류체인으로 원양업, 수산가공업, 3PL물류업, 저장창고업이 주요 사업자다. 이번 콜드체인 클러스터 구축으로 얻을 수 있는 직접적인 기대효과는 수입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여인홍)는 국내 농수신식품의 수출진흥과 수급안정화를 통해 농어민의 소득증진과 국민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국민에게 신뢰받는 글로벌 농수산식품산업육성 전문 공기업'이라는 비전을 수립하고 우리 농업의 성장동력이 될 농수산식품산업지원과 차별화·전문화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공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농산물 수급안정은 수확한 농산물을 저온저장 후 적기에 시장공급함으로써 국내 농식품 콜드체인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 국가의 식량비축기지라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은 aT는 전국 14개소에 9만6,501톤의 농수산물을 보관하고 있으며 이중 저온보관은 6만9,821톤, 연면적 9만7,771m²에 달하고 있어 국내 최대 저온시설 주체로 자리잡고 있다. 농산물 수급안정 핵심시설 재구축 aT는 보관품목의 가치를 오래 보존하고 안전한 식품을 공급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농산물비축기지 현대화·광역화사업을 본격 실시하고 있다. 농산물 비축기지는 국내 농산물의 수급조절을 위한 저장창고로써 aT에서는 현재 전국 시도에 산재한 12개소 비축기지에 고추, 마늘, 양파, 콩, 참깨 등 주요 수급 조절용 농산물을 관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