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인 앱트뉴로사이언스는 지열·수열에너지 전문기업으로 2025년 2월 기존 ‘지오릿에너지(Geolit Energy)’에서 ‘앱트뉴로사이언스(APT neuroscience)’로 사명을 변경하며 변화와 혁신으로 새롭게 도약하고 있다. 지열·수열 냉난방시스템, 연료전지, 고효율 히트펌프기술 개발 및 성능 기반 AI 활용 에너지 유지관리(xEMS) 플랫폼 등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분산에너지 공급시스템 구축과 5세대 집단냉난방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활용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공형진 상무를 만나 제냉전 참관배경 및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 제냉전 참관 계기는 최근 국내 건설경기 침체와 민간 발주의 지속적인 감소로 냉난방 및 에너지설비산업이 전례없는 위축 국면에 접어들어 출혈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내수 중심의 사업을 넘어 신규시장 탐색과 참여를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돼 제냉전을 참관하게 됐다. 이번 제냉전을 통해 냉동공조산업 전반의 글로벌기술 트렌드와 주요 시장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이번 제냉전 참관은 신흥시장을 넘어서는 중국 내 HVAC시장 구조, 히트펌
에스엘테크놀로지는 ‘All about the HVAC control technology’를 캐치프레이즈로 냉난방관련 제어기를 전문제조하는 PCB제조사다. 1998년 창업이래 가스보일러, 열 밸브, ERV, FCU, 이동식에어컨 등 HVAC에 특화된 제어 PCB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박현웅 에스엘테크놀러지 차장을 만나봤다. ■ 제냉전 참관 배경 및 느낀 점은 한국 시장은 중·고가 제품 위주로 형성돼 있는 반면 중국시장은 저가 보급형부터 고가 첨단 형까지 다양한 제품이 공존하고 있어 기술 및 부품 트렌드를 파악하기에 제냉전은 적합한 전시회다. 특히 보급형 제품분야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원가절감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이 인상적이었다. 제냉전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HVAC 전문 전시회로, 전 세계 기업들이 최신 기술을 선보이며 시장트렌드를 공유하는 장이다. 2010년대 이후 중국에서도 에너지효율을 중시한 제품이 대거 출시됐으며 현재는 에너지효율을 기본으로 IoT 기반 제어 및 모니터링기능이 강화된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주목한 제품은 HOLTOP의 히트펌프와 ERV(Energy Recovery Ventilator)를 융합한 일체형 제품이었다. 여름철에
대성히트에너시스는 창립이래 국내 에너지산업을 이끌어온 대성이 기존 난방시장 노하우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기 위해 창립했다. 지열·태양광·연료전지 등을 보급하며 미래 냉난방산업을 대체할 히트펌프개발에 역량을 집중한 결과 가정용부터 산업용까지 아우르는 지열히트펌프 최다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기열 히트펌프를 이용한 스마트팜 시장에도 적극 진입하며 시장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유지석 대성히트에너시스 대표를 만나 제냉전 참관계기와 글로벌 트렌드 등을 들었다. ■ 참관계기는 제냉전은 산업용을 포함한 냉동·냉장과 냉난방·급탕분야 히트펌프 트렌드와 중국 등 글로벌기업들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아시아 최대규모 전시회다. 다양한 부품의 공급망과 시장변화를 파악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자리라고 생각해 참관하게 됐다. ■ 제냉전에서 확인한 글로벌 트렌드는 크게 다섯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저소음기술 강화다. 가정용·건물용 히트펌프는 소음해결이 중요한 만큼 제품에 헤드셋을 활용해 소음저감효과를 강조한 부스들이 많았다. 이는 공기열 히트펌프 성장에 가동소음 해결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가혹한 운전환경에서의 가동성이다. 공기열 히
벨리모서울은 벨리모의 한국 비지니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HVAC 관련 핵심기기류 및 솔루션을 개발,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에너지와 안전이라는 큰 주제에 맞춰 다양한 제품군들을 국내 시장에 제안하고 있다. 벨리모 아시아퍼시픽 초청으로 벨리모 상해 ‘CESIM 하우스’ 오픈 행사 참석 및 중국시장의 기술적 흐름을 파악하고자 제냉전에 방문한 임태섭 벨리모서울 대표를 만나 출품배경, 사업계획 등을 들어봤다. ■ 벨리모의 제냉전 출품 컨셉은 벨리모는 1975년 시작해서 올해로 50주년이 됐다. 전시회 부스 전면에 50주년 기념 마크를 붙이고 그간 벨리모의 성과를 전시했다. HVAC시장 선도기업으로서 센서부터 댐퍼모터 및 밸브류까지 전 라인업을 공개했다. 특히 데이터센터의 경우 별도 공간을 만들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있는 ‘액체냉각방식(Liquid cooling) 장비’ 관련 제품을 전시해 데이터센터시장의 선두업체로서 시장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선보였다. 또한 신제품 코너를 통해서는 stainless steel(SUS)재질의 제어밸브를 출시해 액체냉각, 액침냉각 등 서스배관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보였다. 부스 전면에는 벨리모의 제품 개발기준인 ‘CESIM’을
LG전자는 글로벌 탑티어 공조 및 에너지솔루션기업 성장이 목표다. LG전자에서 ES엔지니어링담당의 총괄책임자로서 건축물의 쾌적한 환경조성과 에너지절감을 위한 냉난방공조 솔루션을 국내외에 보급하는데 노력하고 있는 권민호 담당을 제냉전 현지에서 만나봤다. ■ 이번 제냉전 참관 계기는 이번 China Refrigeration Expo 2025(제냉전) 참관을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냉동공조시장의 흐름을 직접 체감하고 특히 고효율, 친환경, 디지털전환이라는 핵심 키워드 아래 세계 각국의 유수 기업들이 어떤 기술적 접근을 하고 있는지 현장에서 확인하고 싶었다. 또한 하나의 중요한 목적은 글로벌 고객들의 니즈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이를 반영한 제품과 솔루션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LG전자가 경쟁력 있는 기술을 넘어 고객 중심의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시장 흐름과 기술 트렌드를 면밀히 분석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것이 중요하다. ■ 제냉전에서 글로벌 트렌드는 이번 제냉전에서 가장 강력하게 느껴진 글로벌 트렌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전환이다. 전 세계 HVAC&R기업들이 고효율·저탄소 솔루션을 경쟁적으로 선보
1973년 이탈리아에 파도바에서 전기판넬을 생산하던 카렐은 냉동냉장 및 공조시장에서 글로벌 제어솔루션을 기반으로 성장해 2018년 이탈리아 증권거래소 상장을 시작으로, 다양한 기업을 인수하며 냉동공조 및 가습설비시장의 제어 솔루션뿐만 아니라 제어를 통해 실시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다양한 통합 및 개별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했다. 카렐은 2018년 △등온식 가습기업체인 Hygromatik △열교환기업체인 Recuperator, 2019년 △캐나다 가습기 전문설비업체인 Enersol, 2021년 △이탈리아 공조기 악세사리 생산업체인 Enginia S.r.l △이탈리아 유지보수업체 CFM, 2022년 △열교환기업체 Klingenburg △이탈리아의 Arion S.r.l △미국의 Senva lnc 등 센서 전문 2개사 △이탈리아 Sauber S.r.l, 2023년 △노르웨이 S/W 프로그램 전문업체 Kiona △뉴질랜드 기반 냉동공조 전문업체 Eurotech 등 현재까지 10개 이상 인수했다. CAREL KOREA는 지난 2009년 냉동분야 리테일비지니스를 제외한 한국지사로 ‘CAREL HVAC&R KOREA’로 설립됐다. 이후
BITZER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본사를 둔 글로벌기업으로, 1934년 설립돼 올해로 창립 91주년을 맞이했다. 냉장, 공조 및 히트펌프기술분야의 독립적인 전문기업인 BITZER는 현재 41개국 75개 지점에 걸쳐 판매 및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기준 4,500명 이상의 임직원이 11억2,000만유로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연구개발에 6,700만유로를 투자해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BITZER 한국법인은 2007년 3월 BITZER 아시아·태평양지역본부의 연락사무소로 처음 문을 연 이후 초기에는 기존 고객사와 협력해 BITZER 제품의 마케팅과 시장 확대, 기술지원을 담당해 왔다. 국내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면서 본사에서도 한국지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돼 2014년 1월1일 독일 BITZER 본사의 공식 한국법인으로 새롭게 출범하게 됐다. 현재 안양과 부산 사무소에서 마케팅 및 기술지원을 비롯해 더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지원하고 있다. 변종환 BITZER 한국법인 대표를 만나봤다. ■ 제냉전 참관 배경은 중국 상하이 제냉전은 국내 고객과 업계 종사자들이 대거 방문하는 중요한 행사다. BITZER 중
“Honeywell의 Solstice® HFO 포트폴리오는 슈퍼마켓, 자동차 에어컨, 단열재 등에 사용되는 높은 GWP의 HFC냉매에 대응해 낮은 GWP를 갖고 있으며 안전하고 에너지효율적인 솔루션입니다. 앞으로 Solstice® Advanced Materials는 기술 전문지식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이해관계자와 협력하고 낮은 GWP의 HFO냉매 채택을 가속화하는 포괄적인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것입니다” Honeywell Energy & Sustainability Solutions부문 내 Honeywell Advanced Materials(AM: 첨단소재사업부)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Honeywell의 첨단소재사업은 2026년 초까지 주주들에게 Tax-free 스핀오프를 통해 Solstice® Advanced Materials로 사명이 변경될 예정이다. 2017년 Honeywell에 합류한 Aparajita Kapoor(아파라지타 카푸어) 매니저는 현재 케미칼사업, 전자소재 및 냉매사업에서 글로벌 총괄매니저(부사장)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4월27일부터 29일까지 중국 상해 에서 열린 제냉전에서 아파라지타 카푸어 Honeywell
삼성전자가 친환경 미래냉각분야 기술을 확보했다. 삼성전자와 존스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 응용물리학연구소는 산·학협력을 통해 진행한 ‘차세대 펠티어 냉각기술’ 연구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논문 제목은 ‘Nano-engineered Thin-film Thermoelectric Materials Enable Practical Solid-State Refrigeratio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5-59698-y)다. 펠티어(Peltier) 냉각은 펠티어 반도체 소자에 전기를 가하면 한쪽 면은 차가워지고 다른 면은 뜨거워지는 효과를 활용한 기술이다. 특히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비화학적 차세대 냉각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라이프솔루션팀 연구진과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연구소 라마 벤카타수브라마니안(Rama Venkatasubramanian) 교수 연구진이 함께 참여했다. 세계 최초 고효율 펠티어 냉장고 실증 성공… 상용화 가능성 제시 연구팀은 세계 최초
네이버가 ‘지금배달’ 서비스를 통해 이륜차 배송 기반 퀵커머스 경험을 제공한다. 네이버는 5월15일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이하 네플스)에서 CU 편의점 입점을 시작으로 이륜차 배송 기반 퀵커머스를 강화하는 ‘지금배달’ 서비스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지금배달’ 서비스는 네플스 웹과 앱에서 사용자 주변 1.5km 내 1시간 내외로 빠르게 배달 받을 수 있는 상품과 스토어를 보여주고 퀵커머스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장보기 서비스를 빠른 배송 중심으로 개편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직접 검색하면 편의점을 포함해 마트나 동네슈퍼 등 내 주변 ‘지금배달’이 가능한 스토어도 더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내달에는 ‘주변 검색’ 기능도 추가 도입해 ‘지금배달’이 가능한 내 주변 스토어를 지도 정보로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네이버 ‘지금배달’을 통해 새롭게 만나볼 수 있는 스토어는 CU이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까지(종료시간은 지점별로 상이) 1만원 이상 구매 시 CU가 자체적으로 확보해 운영 중인 이륜차 배달망을 통해 1시간 내외로 배송된다. 이에 따라 네플스 사용자들은 자신의 주변 CU 점포에서 인기 간식거리와 간편 소
댄포스의 프리미엄 파트너사 동인테크(Dong-in Tech)는 냉방 및 난방, 공조용 부품인 냉매압축기, 팽창변, 전자변, 라인 구성품, 판형열교환기, 인버터, 소프트 스타트, 복합밸브, 그리고 LG 냉매압축기와 LU-VE그룹의 유니트쿨러, 드라이쿨러 등 다양한열교환기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종합적인시스템 기술지원도 함께 제공한다. 하니웰 (Honeywell)공식유통업체인 우진테크(Woojin Tech)는 Honeywell에서제공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냉매를 공급하고 있다. 오존층 보호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에 의거해 지구환경보호를 위한 새로운 냉매(HFC) 및 친환경 냉매(Low GWP & HFO)를 직접 수입·판매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우진테크와 동인테크를 합친 매출이 280억원대였으나 2024년 470억원대로 급성장했다. 우진테크와 동인테크를 이끌고 있는 권일우 대표를 만나 향후 냉매시장 동향 및 개선방향, 부품사업에서 완제품사업 확장 계기 등을 들어봤다. ▎냉동공조시장에 대해 평가한다면 현재 냉동공조시장 경기가 매우 침체돼 있는 상황이다. 침체 이유 중 하나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이슈로 특정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