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체인 전문기업 프리즈(대표 이승용)는 최근 냉동기 엔지니를 위한 공구, 중고 냉동기 등 다양한 제품군을 ‘쿨리닉 스토어’에 입점시켰다고 밝혔다. 입점품목은 △밸류 △NAVTEK △WIPCOOL 등 다양한 공구류, △ARIRANG BUBBLE △방수 LAMP 등의 소모품, △중고 콤프레샤 등이다. 쿨리닉은 냉동기 고장 시 현장과 파트너(냉동기 수리기업)를 매칭해 급박한 냉동기 A/S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매칭 플랫폼이다. 쿨리닉 앱 내에서 파트너를 대상으로 냉동기 부품 및 관련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쿨리닉 스토어’ 기능을 프리즈는 제공하고 있다 프리즈의 관계자는 “산업용 제품은 구매 채널이 제한적이며 정보를 얻기도 어렵다”라며 “판매 후 사후관리도 되지 않는 제품들도 많다”고 지적했다. 쿨리닉 스토어는 오프라인에 익숙한 산업용 제품도 Mobile APP에서 쉽게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입점 제품은 10년 이상 경력의 냉동기 엔지니어가 직접 제품을 확인하고 발굴하고 있어 보다 유용하고 혁신적인 제품, 사후관리가 완벽한 제품들을 엄선해 입점시키고 있다. 쿨리닉은 냉동공조에 연관돼 있는 제품들의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SSG닷컴은 친환경 활동인 폐플라스틱 수거에 참여한 고객을 대상으로 코카콜라와 협업한 보냉가방 ‘알비백’을 증정하는 친환경 마케팅을 선보인다. SSG닷컴은 최근 직접 재활용에 참여한 고객에게 재사용 보랭백 ‘알비백’을 리워드로 돌려주는 ‘친환경 마케팅’을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SSG닷컴은 7월19일부터 10월10일까지 이마트, 한국코카콜라, 테라사이클, WWF(세계자연기금)와 공동으로 ‘원더플(ONETHEPL) 캠페인 시즌2’를 시작한다. ‘원더플 캠페인’은 한 번(ONE) 더(THE) 사용하는 플라스틱(PL)이라는 뜻을 담아 폐플라스틱을 수거해 재활용하는 친환경 자원순환 활동이다. 7월19일부터 8월1일, 8월23일부터 9월5일, 9월27일부터 10월10일까지 총 3차에 걸쳐 진행한다. SSG닷컴은 해당기간 동안 원더플 캠페인 폐플라스틱 수거 활동에 참여한 고객에게 리워드로 ‘코카콜라 알비백’을 제공할 예정이다. 7월19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2주간 1차 참여 신청을 받으며 추첨을 통해 선정된 고객은 택배로 발송되는 ‘제로웨이스트 수거박스’에 깨끗하게 씻어 건조한 투명 음료 페트병을 채우면 된다. 8월3일부터
도심지 철도 유휴부지가 물류 활성화의 중심으로 떠오른다.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철도공사의 사업범위에 철도자산을 활용한 물류사업을 포함하는 내용의 ‘한국철도공사법 시행령’ 개정안을 7월1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다. 철도물류는 친환경·안전 운송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철도운송량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철도운영사의 영업여건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실제로 2005년 4,167만톤이었던 물류 운송량이 2015년 3,710만톤, 2020년 2,628톤으로 줄어들었다. 2005년대비 무려 37% 감소한 실적이다. 또한 현재까지 철도물류는 철도운송과 연계한 사업만 가능해 물류창고운영 등 종합물류사업 추진이 불가능했다. 철도물류적자는 2005년 3,181억원에서 2015년 2,259억원, 2020년 2,409억원으로 누적적자만 4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에 반해 국내 육운(도로), 해운업계와 해외 철도운영사 등은 유휴부지, 시설자산 등을 활용한 물류시설을 운영 중이다. 이에 따라 국내 철도물류의 운송량 증대에 기여하고 운영사의 자생역량 확보를 위해 철도물류 사업범위에 철도유휴부지, 역사 부지 등 철도자산을 활용한 물류사업을 포함하는 것이 이번 개정의
네이버(대표 한성숙)가 다양한 물류 스타트업과 손잡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판매자의 물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기반 풀필먼트 플랫폼’을 오픈해 주목받고 있다. 네이버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대상으로 온라인 풀필먼트 데이터 플랫폼인 ‘NFA(Naver Fulfillment Alliance)’를 열었다. NFA는 SME와 풀필먼트 스타트업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시작으로 향후 AI를 이용한 물류 데이터 분석, 사업자별 물류 수요예측 등의 기능들을 종합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네이버는 NFA를 통해 풀필먼트분야뿐만 아니라 택배, 프리미엄 배송, 도심 근거리 물류창고 등 다양한 물류 분야의 플레이어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하고 이들이 45만 스마트스토어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기반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NFA’에는 현재 논브랜드부터 냉동, 냉장 특화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역량을 갖추고 있는 △CJ대한통운 △아워박스 △위킵 △파스토 △품고 △딜리버드 △셀피 등 7개 풀필먼트기업과 함께 참여하며 향후 더 확대될 계획이다. 해당 업체들은 스마트스토어 API 연동 등을 통해 네이버와 꾸준히 협력하면서 SME 물류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실험들을 시도해왔
이마트24가 올해 평택물류센터에 최첨단 지능형 자동분류시스템을 도입해 물류 업무효율성 개선에 나선다. 이번 시스템은 자동화설비 전문기업 ‘에스에프에이(SFA)’가 자체 개발한 것으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지 않아도 인공지능(AI)이 스스로 상품의 종류와 수량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류센터에서는 스캐너로 상품 혹은 별도 부착된 라벨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유통업계는 취급 상품의 종류가 많고 포장상태나 포장방법에 따라 그 형태도 다양해 바코드 위치도 제 각각인 탓에 추가적인 인력 투입이 필요하고 상품분류 효율도 떨어진다. 이에 따라 이마트24는 SFA와 손잡고 기존 자동화시스템에서 한발 더 진보된 자동분류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마트24가 업계 최초로 평택물류센터에 도입한 자동분류시스템은 AI기반의 OCR(광학문자인식)시스템 스스로 상품에 있는 문자, 외형, 색상 등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바코드없이 모든 상품을 신속, 정확하게 점포별로 분류 가능하다. 또한 GTP(Goods To Person)*, DPS(Digital Picking System)** 등 모든 물류센터 업무를 자동화, 시스템화해 무서류화(Paperl
SSG닷컴은 7월12일부터 대전광역시와 청주시, 천안시, 세종특별자치시, 아산시 등 충청권을 대표하는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새벽배송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SSG닷컴은 새벽배송시장에 진출한 지 만 2년만에 충청권까지 외연을 넓히게 됐다. 수도권을 벗어난 지역에서 새벽배송을 실시하는 건 이번이 처음으로, 향후 고객 반응을 살펴 점진적인 권역 확대도 모색할 예정이다. 배송지역은 기존 SSG닷컴에서 주문하고 이마트에서 출발하는 ‘쓱배송(주간배송)’ 권역과 최대한 동일하게 잡았다. 이마트 △대전터미널점 △둔산점△청주점 △천안서북점 △펜타포트점 △세종점 △아산점 등 8개 점포에서 배송하는 대부분의 권역에서 새벽배송도 이용할 수 있다. 운영 초기 일부지역은 제외될 수 있어 자세한 정보를 원하는 고객은 SSG닷컴 모바일 앱과 홈페이지에 있는 ‘새벽배송 가능지역 찾기’로 주소를 입력해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구 밀도와 예상 수요 등을 고려해 원활한 배송을 진행하기 위해서다. 기존 쓱배송 이용고객이 새벽배송에 대한 호응도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해당 지역 거주 고객들은 당일 오후 3시부터 새벽배송 주문이 가능하고 다음날인 아침 7시까지 상품을 받아볼 수 있다.
SSG닷컴은 오는 18일까지 IT개발자를 모집 대상으로 하는 ‘2021년 하반기 Tech(기술) 직군 경력사원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채용 인원은 두 자릿수 규모로, 해당 직군 단일 채용으로는 2019년 3월 SSG닷컴 단독 법인 출범 이래 가장 크다. 모집분야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 최신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SSG닷컴의 플랫폼 경쟁력을 견인하는 ‘데이터·인프라본부’ 산하의 총 14개 직무다. △서비스 기획 △소프트웨어 개발(프론트, 백엔드) 전 부문 △데이터분석 및 개발 △데이터예측 △딥러닝 개발 △시스템·미들웨어·네트워크 엔지니어 △DBA 등이 해당된다. 서류접수는 오는 18일 오후 11시까지다. 이후 서류 전형을 통과한 지원자에 한해 1차 실무진, 2차 임원진 면접을 거치게 된다. 이밖에 지원직무에 관한 자세한 내용 및 우대 사항은 SSG닷컴 채용 홈페이지(ssg.recruit.c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사이트에는 현업 담당자의 인터뷰를 담은 ‘직무 소개 동영상’ 페이지도 신설했다. 이번에 채용을 진행하는 데이터·인프라본부는 SSG닷컴의 주문부터 결제, 배송에 이르는 전반적인 사업 영역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핵심
1등 장보기 앱 마켓컬리 운영사 (주)컬리가 2,254억원 규모의 시리즈F 투자유치를 완료하고 기업공개(IPO)는 한국증시에 상장을 추진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컬리는 7월9일 2,254억원 규모의 시리즈 F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 F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에스펙스 매니지먼트(Aspex Management)와 DST Global, 세콰이어캐피탈 차이나, 힐하우스 캐피탈 등 다수의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신규투자자로는 자산규모 약 520억달러(한화 약 59조원)를 운용하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밀레니엄 매니지먼트(Millennium Management)와 지난 4월 샛별배송 전국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CJ대한통운이 참여했다. 이번 시리즈F 투자에서 컬리의 기업가치는 지난해 시리즈E 투자 후 약 1년여만에 2.6배 오른 2조5,000억원 규모로 평가됐다. 기존 투자자 및 신규 투자자들이 2조5,000억원 규모의 기업가치를 인정한 이유는 크게 2가지다. 첫 번째는 컬리의 가파른 성장성이다. 컬리는 창사 이래 매년 두 자리수 이상의 고성장을 거듭해왔다. 2020년 9,53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대비 2배 이상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최준욱)는 지난 7일 동양시스템즈, 이노메트릭스, 딥네츄럴, 녹원정보기술 등과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한 ‘2021년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에 참여해 항만물류 데이터 확보에 나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개발에 필수적인 양질의 데이터를 대규모로 구축·개방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시행한 디지털 뉴딜사업 중 하나로 국가산업에 지능화 혁신을 촉진하고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총 9개 영역(음성·자연어, 비전, 헬스케어, 교통·물류, 농축수산, 재난·안전·환경 등) 86개 분야에 2,925억원의 정부 지원금을 통해 올해 12월까지 추진될 예정이다. IPA는 교통·물류 영역 ‘항만물류 데이터’분야에 과제를 제출했으며 항만-물류 자원들과의 연결성을 강화한 커넥티드 스마트항만 구축에 필요한 컨테이너, 항만 장비, 작업자 등과 관련한 300시간 이상의 영상과 60만개 이상의 정적·동적 객체 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 예산 약 19억원을 지원받아 인천신항을 실증지역으로 선정하고 실제 운영 중인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식별 번호, Type Siz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최준욱)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10공구 일원에 조성한 인천신항 배후단지 복합물류클러스터 1-1단계 1구역 입주기업인 (주)케이원이 지난달 상부시설 최종 준공허가를 받아 배후단지 운영을 본격 개시했다고 8일 밝혔다. IPA는 인천신항 물동량 견인을 위해 인천신항 배후단지 복합물류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기업을 모집해 지난해 9월 마지막 입주기업까지 총 8곳의 입주기업을 선정한 바 있다. 이번에 운영을 시작하는 케이원은 목재 수입·유통기업으로 2019년 7월 인천신항 배후단지 복합물류 클러스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같은 해 10월 IPA와 사업추진계약을 체결했다. 특히 케이원은 앞으로 인천신항 물류센터 운영을 통해 동남아시아 등 해외 수입 목재 물동량을 증대하고 수도권에 적기 공급함으로써 인천신항이 수도권 거점항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인천신항 배후단지 복합물류 클러스터 1-1단계 입주기업은 콜드체인 클러스터를 제외하고 총 8개사로 이중 6개사는 올해 하반기 내, 나머지 2개사는 내년 상반기 내 준공을 거쳐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김경민 인천항만공사
덴마크에 기반을 둔 플레이트 냉동기술시장의 선두주자인 DSI Freezing Solutions A/S(이하 DSI)는 벨기에 극저온 냉동 전문기업인 Cryogenic Equipment and Services NV(이하 CES)와 기계식 냉동기술, 특히 스파이어럴 및 터널냉동기분야의 세계적 리더인 Dantech Freezing Systems A/S(이하 Dantech)를 인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DSI는 식품의 냉동, 냉각 및 열처리분야에서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제품군을 보유한 새로운 글로벌기업으로 탄생했으며 현재 기존 고객과 미래 고객 모두에게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줄 3가지 유형의 냉동기술을 모두 제공하는 업계 유일의 글로벌 공급기업이 됐다. Lars Priess DSI CEO는 “이번 2건의 전략적 기업인수를 통해 우리는 식품산업에 모든 냉동기술을 비롯한 식품의 냉각 및 열처리를 위한 폭 넓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글로벌기업이 됐다”고 밝혔다. DSI는 2017년 Nordic 사모펀드인 Procuritas Capital Investors에 인수된 이래 미래성장을 확보하는 강력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결단력을 가지고 노력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