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칠벤타에서 만난 사람들] 최성호 대성마리프 대표

“유럽 냉동공조기술 트렌드와 우리와의 기술격차 이해위해 참관”
친환경 냉매 적용 각종 솔루션 주목

URL복사
1986년 설립된 이래 국내〮외 냉동공조분야 특화 제품군 공급에 집중해 온 대성마리프는 냉동〮냉장의 기본이 되는 콘덴싱유니트, 유니트쿨러를 비롯해 냉장기술을 응용한 습도조절식 냉장시스템, 저온제습식 식품건조기, 아이스슬러리식 칠러, 칠링유니트, BLDC 콘덴싱유니트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특히 신시장 진출을 위한 스마트팜 냉장솔루션 중 하나인 ‘축사전용 고효율 이동식 에어컨’을 최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최성호 대성마리프 대표는 최근 글로벌 냉동냉장 트렌드를 확인하기 위해 칠벤타를 방문했다. 최성호 대표를 만나 칠벤타 냉동냉장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들어봤다.

▎이번 칠벤타 참관 계기는
코로나로 인해 4년만에 열린 2022 칠벤타를 통해 유럽 냉동공조기술의 트랜드와 우리 기술과의 격차를 이해하기 위해 참관했다. 유럽은 오래전부터 프레온계 냉매사용 규제를 통해 친환경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기에 최근의 글로벌 환경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했다. 마침 우리 회사의 사업파트너사인 비쳐의 전시회 참가로 초청에 응해 직접 참관하게 됐다.

▎칠벤타 참관하면서 느낀 트렌드는
친환경적인 요소를 저온과 공조기술에 적용한 사례와 제품들의 전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완제품에서 주요 핵심부품들에 이르기까지 친환경 냉매 적용에 적합한 각종 솔루션을 전시하고 있었다.

특히 CO₂를 냉매로 적용한 사례들이 많아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CO₂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냉매가 전 세계적으로 2023년에는 약 87조원의 시장으로 성장된다는 전망도 있다. 이는 지난 5년간 연평균 18%의 큰 성장률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 전망도 긍정적으로 유럽, 오세아니아와 일본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으로 추세가 확대돼 2027년까지 155조원에 이르는 시장규모로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유럽지역은 친환경에너지와 환경보호의 인식이 사회전반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산업계의 꾸준한 기술혁신을 통한 변화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의 확고한 정책적 육성이 이뤄낸 결과라고 생각한다.

▎주목할 만한 제품은
친환경 냉매 적용과 현황을 중점적으로 살펴봤다. 유럽의 중대형 냉동기 제조업체들이 관심을 끌었다. 덴마크의 ADVANSOR, 독일의 TEKO와 이탈리아의 SCM FRIGO(BEIJER 그룹) 등이 유럽에서 친환경 냉매를 적용한 유니트와 시스템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기업들로 넓은 부스에 다양한 유니트 제품들을 전시하며 자사의 특장점을 소개했다.



이 업체들은 지난 10~20년간 친환경냉매 적용시스템을 개발해 왔으며 지금은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안정된 친환경 냉매시스템으로 슈퍼마켓 저온설비에 폐열을 이용한 온수결합시스템, 대형 저온물류센터 냉동기, 히트펌프를 이용한 급탕 제품을 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친환경시스템으로 기존의 HFC계열 냉매들이 처리하던 분야를 친환경 고효율시스템으로 급속히 전환해가고 있었다. 한 가지 더 주목한 것은 유니트와 열교환기 제조사들이 각자 전문분야에서 오랫동안 기술을 쌓아와 협업하며 성장을 이어가는 것을 보며 산업의 전문화와 분업체계가 잘 이뤄져 있구나 생각했다.



▎칠벤타 출품 제품과 국내 제품동향을 비교한다면
올해는 마침 일주일 간격을 두고 칠벤타와 국내의 하프코 전시회가 열려 직접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됐다. 국내는 여전히 전통적인 High GWP냉매 위주의 유니트와 관련분야 부품들이 주류로 전시되고 있었다. 이는 세계 10대 교역국에 드는 국가산업 전반의 수준에도 많이 뒤떨어지는 현상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삼성의 주도로 2050년까지 제로탄소정책을 천명하고 나섰다. 냉동공조업계도 친환경과 고효율이라는 피할 수 없는 명제를 마주해 우리의 역량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겠다.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국내 냉동공조분야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전 세계 추세에 발맞춰 조기에 친환경 냉매를 적용해 지구환경을 보호하고 고효율로 저탄소 배출기술을 확대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다 강력한 기술적 유인정책이 필요하다. 빠른 기술보급과 확산을 위해 지금껏 HFC계열 냉매에 국한된 법규를 과감히 확대, 적용해 Transcritical CO₂같은 고압냉매 적용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정부가 과감한 인센티브정책을 시행해 초기 사용 시 사용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방안도 고려하면 좋을 것 같다. 기후변화대처와 신재생에너지를 빼놓고선 이제 사업의 지속성 여부가 굉장히 불투명해지고 있다. 우리 모두의 관심이 새로운 트렌드를 맞이하는 첫발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