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는 송상근 신임사장이 2월10일 오후 2시 BPA본사 2층 대강당에서 취임식을 가지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송 신임사장은 취임식에 앞서 첫 현장경영을 먼저 시작했다. 부산항 신항 7부두 및 배후단지 입주업체를 방문하며 자동화 부두 인프라확충에 대한 관심과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송 신임사장은 경남 함안 출신으로 진주동명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해운경영학 석사를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를 수료했다. 1992년 행정고시 36회로 공직에 입문해 부산지방해양수산청,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과장, 민자계획과장, 국토해양부 항만물류기획과장, 해양수산부 대변인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으며 외교부 주영국대한민국대사관 공사참사관을 통해 국제경험도 갖추었다. 이후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을 거쳐 2023년 6월까지 해양수산부 차관으로 역임했다. 임기는 오는 2028년 2월까지 3년이다. 송 신임사장은 취임사를 통해 "부산항만공사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 글로벌 종합항만 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 항만시스템 조기 구축으로 글로벌 경쟁력 극대화, 고부가가치 종합항만으로 도약, 지역과 상생하는 항만경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 고기동)와 2월7일 서울 피스앤파크컨벤션에서 안전문화 활성화를 위해 ‘안전문화 사회공헌활동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aT를 비롯해 행정안전부, 한국도로공사, 인천국제항공공사, 한국마사회 등 총 29개 기관들이 참여했다. 협약기관들은 기관별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해 업무와 연속성이 있는 계획수립과 안전문화 활동 적극 추진 등으로 안전문화 확산에 적극 힘을 합치기로 뜻을 모았다.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2024년 안전문화대상 단체부문 수상기관으로 이번 협약에 참여한 aT는 앞으로도 △안전교육 △안전 취약계층 안전 점검과 개선 △안전문화 캠페인 등 다양한 안전문화 사회공헌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aT는 그동안 전 사업장 대상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위험성 평가 우수사업장 인정 등을 획득하고 찾아가는 안전 점검 지원반 운영과 지역사회 취약계층 안전 봉사활동, 집중호우 피해 복구 등을 지원하며 국민의 안전 확보에 힘써왔다. 홍문표 aT 사장은 “안전은 농어촌·농어민(축산)을 비롯한 국민들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가치”라며 “aT는 5200만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책임지는 공공기
경운대학교(총장 김동제)는 최근 국내·외 복합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기업인 은산해운항공(대표 양재생)와 물류·유통 전문인력 양성 및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은산해운항공 부산 중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해운, 항공 등 복합 운송서비스를 국내·외에 제공하는 국내 대표 물류기업이다. 경운대학교는 항공관제물류학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2030년 개항을 앞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시대를 맞아 경상북도 특성화학과로 지정됐으며 폭발적 수요를 대비한 항공관제사와 물류산업 전문가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영남권 유일 국토부 지정 항공관제사 전문교육기관인 항공교통관제교육원과 국내 유일 물류·유통 실습 교육환경시스템 운영 등 지역맞춤형 우수 인재양성 학과로 우뚝 서고 있다. 협약식에는 하성영 경운대 항공서비스대학장, 유병철 항공교통물류학과 교수와 변성태 은산해운항공 전무, 이헌우 차장 등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물류·유통 분야 전문가 양성과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인적․물적 교류협력 △상호 채용정보 제공 및 인재 추천을 통한 인재확보 채널 구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재학생들의 현장학습 기회 및 일자리 제공과 경운대가 운영하는
스마트 AI TMS 모빌리티 솔루션기업 위밋모빌리티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 2년 연속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의 디지털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국가주도프로그램으로 데이터 구매 및 가공비용을 지원해 데이터기반 혁신을 촉진하고 국내 디지털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선정으로 위밋모빌리티는 물류 및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기반 최적화솔루션을 제공하며 물류 디지털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위밋모빌리티는 스마트배차 최적화 솔루션인 ‘루티(ROOUTY)’를 통해 물류 최적화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실시간 온도관제까지 도입해 신선식품 및 의약품 물류에서도 안정적인 배송을 지원하고 있다. 이동·경로·배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AI로 가공·분석해 물류배차를 최적화하며 운영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배차 및 경로 최적화용 데이터셋 구축, 실시간 이동·경로 데이터 분석, 기업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물류 및 유통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크린토피아, 홀템, 오비맥주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최적화
환경부는 지난해 12월18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소불화탄소(HFCs) 관리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하며 2035년까지 HFCs 배출량 약 2,000만톤을 저감해 국가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한다고 밝혔다.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제품으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제품군별 대체물질 유무 및 기술개발 동향 등을 고려해 Low GWP 물질로 전환을 차등화할 방침이다. 김영성 한국환경공단 탄소중립지원처 불소계온실가스관리부 과장은 ‘국내 냉매규제 및 대체냉매 전환 방향’을 주제로 국내·외 HFCs 관리현황과 HFCs 관리제도 개선방안 등을 발표했다. 적극적 HFCs 감축·관리방안 마련 필요유럽은 2024년 F-gas관리법을 개정하며 2050년까지 HFCs 소비량 제로를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HFCs 냉매관련 제품 출시 및 유지보수를 금지했으며 주기적 점검으로 대기누출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불소계 온실가스 사용정보 표시를 의무화했으며 HFCs 단계적 감축계획에 따라 할당량을 정해 할당부과금을 징수한다. 또한 F-gas포털을 통해 전과정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다. 국내는 △오존층보호법 △대기환경보전법 △전자제품 등 자원순환법 등을 통해 HFCs 관리를 하고 있다
콜드체인은 온도민감제품의 생산에서 소비까지 적정온도를 관리하며 유통하는 일련의 단계로 식품, 의약품, 반도체, 이차전지 등 적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전과정 끊임없는 콜드체인을 위해서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동장치가 필수다. 하지만 콜드체인 냉동장치를 위한 냉매로 주로 GWP(지구온난화지수)가 높은 불소계 냉매인 HCFC와 HFC가 주로 사용되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라재붕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전무는 ‘Low GWP 냉매 콜드체인 냉동장치 보급 활성화 제안’을 발표하며 불소계 냉매감축 설비지원사업 필요성과 냉매전환을 위한 지원사업을 제안했다. 2024년 HFC 냉매규제 본격화 콜드체인 냉동장치 냉매는 크게 자연냉매와 불소계 화학냉매로 나뉜다. 자연냉매에는 암모니아(NH₃), 이산화탄소(CO₂), 탄화수소(HC), 물, 공기 등이 있으며 불소계 화학냉매는 HCFC, HFC 계열 냉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따르면 불소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기준 약2,942만tCO₂eq이며 그 중 콜드체인산업에서 사용하는 불소계 냉매의 배출량은2,680만tCO₂eq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콜드체인산업에서 냉매로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상이변이 심화되고 있다. 주요 국가들은 이상기후 대비책으로 불소계 냉매 감축일정을 발표하며 쿼터량 설정, 제품군에 따른 적용냉매의 GWP 제한 등을 실시하고 있다. 장영수 대한설비공학회 친환경냉매전문위원회 위원장은 ‘글로벌 Low GWP 냉매전환 현황’을 주제로 불소계 냉매 대체전환 국제 규제동향과 대체냉매 개발 현황 등을 발표했다. 매년 4.2% 온실가스 감축 필요2024년 여름(6~8월) 유럽 평균 지표면기온은 1991~2020년 평균대비 1.54°C 높은 수준으로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중해 전역의 일평균 해수면온도는 8월 중순 사상최고치인 28.2°C에 육박했다.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교토의정서는 지구온난화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방안으로 선진국 온실가스 감축목표치를 규정했다. 이후 2015년 12월12일 파리에서 열린 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본회의에서 파리협정을 체결하며 교토의정서를 대체했다. 교토의정서는 선진국에만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여했지만 파리협정은 195개 당사국 모두가 감축목표를 지켜야 한다. 195개
CXL BIO GSC(Global Supply Chain)센터는 글로벌 콜드체인기준을 충족하는 물류시설로 의약품을 위한 다양한 설비와 시스템이 도입됐다. 부지면적 7,008㎡(2,120평), 연면적 8,842 ㎡(2,675평)의 지상 4층건물로 바이오의약품 전용 물류창고와 스마트 밸리데이션센터 등을 갖췄다. 다양한 보관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항온·항습보관소와 냉장보관소, 맞춤형보관소 등이 있으며 최적의 보관환경과 모니터링시스템을 갖춰 의약품 보관과 운송의 허브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물류서비스를 넘어 바이오의약품의 안전하며 효율적인 보관·운송을 위한 최적의 콜드체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CXL BIO GSC센터를 방문했다. 20년 물류경험·글로벌 네트워크CXL BIO는 글로벌 종합물류 전문기업 세중해운의 바이오물류부문 사업부서다. 세중해운은 전 세계 7개국에 23개 지사를 운영하며 물류전문인력 344명과 200개 이상 글로벌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신선물류 등 특수물류분야에서 강점을 지녔다. 2023년 5월 충북 청주시 오송생명과학단지에 GSC센터를 준공하며 본격적인 바이오물류 연구와 운영을 시작했다. GSC센터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5년 1월23일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거래금액이 1,000억원을 돌파해 1,03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39억원)대비 26배 증가한 수준으로 전년도 1,000억원 기록시점이 6월 17일인 점을 감안하면 올해 거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3년 11월30일 공식 출범한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은 2024년 거래금액으로 목표액인 5,000억원을 훌쩍 넘는 6,737억원을 달성했으며 농가수취가 3.5% 증가, 유통비용률 7.4%p 감소라는 성과를 보여준 바 있다. 2025년 온라인도매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는 지난해 추진했던 △가입 요건 완화, 거래 부류 폐지 등 규제 완화를 통한 이용자 대폭 확대(2024.1월 기준 판매자 149개소, 구매자 333개소 → 2025.1월 기준 판매자 1,136, 구매자 2,834) △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편의성 제고 △이용자들의 온라인도매시장 이용경험 증가와 유통비용률 감소효과 체감 △물류비 등 각종 지원사업 등이 유효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2025년 1월에는 우엉, 연근, 참조기, 마른 멸치 등 신규품목의 거래가 개시되고 설 명절 기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강준석)는 전 세계 1위 컨테이너선사인 MSC(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가 2024년 부산항에서 단일 선사로는 최초로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400만TEU를 처리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고 2월4일 밝혔다. MSC가 처리한 400만TEU는 대한민국 주요 컨테이너 항만인 인천항(약 356만TEU)과 광양항(약 201만TEU)의 연간 물동량을 뛰어넘는 규모로 단일 선사가 국내 항만에서 연간으로 처리한 물동량으로서는 국내 최고치다. MSC 전체 물동량은 전년대비 약 16% 증가해 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기록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터미널 혼잡완화와 내부환적 운송(ITT)게이트 개방확대 등 부산항의 서비스개선과 운영효율화를 위한 부산항만공사와 터미널 운영사의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2023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환적운송시스템(TSS)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것에 이어 지난해에는 터미널운영사와 공동으로 터미널간 환적 화물의 육상이동을 최소화하며 선대 운영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환적모니터링시스템 포트아이(Port-i)를 도입했다. MSC는 이러한 부산항의 환적 이점과 부산 신항이 보유하
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는 지난해 인천항의 컨테이너물동량이 2023년대비 2.8% 증가한 355만8,455TEU로 집계됐으며 이는 역대 최대기록인 2023년 346만 1,362TEU보다 약 10만TEU 증가한 수치라고 2월2일 밝혔다. 또한 지난해 12월에는 컨테이너물동량 32만 1,531TEU를 처리해 역대 월 최대 처리실적도 갱신했다. IPA의 지난해 컨테이너물동량은 수입 177만2,061TEU, 수출 173만7,129TEU로 2023년대비 각각 2.0%, 3.7%씩 증가했으며 환적물동량은 4만9,265TEU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 비중은 중국 66.0%, 베트남 8.4%, 대만 3.6%, 홍콩 2.5%, 말레이시아 2.0%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주요 5개 국가의 컨테이너수출은 전체 수출물동량의 82.5%를 차지했다. 국가별 수입비중은 중국 56.2%, 베트남 13.4%, 태국 6.1%, 인도네시아 3.2%, 미국 3.2%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주요 5대 국가의 컨테이너수입은 전체 수입물동량의 82.1%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인천항에서 눈에 띄게 컨테이너물동량이 증가한 주요 교역국은 중국, 미국이었으며 각각 12만4,186TEU, 1만